건강한 식습관, 당
EBS의 명의, 생로병사의 비밀 등을 시청하고 정리했습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이 프로그램에서는 고도의 제분 기술로 정제된 당을 조심하라고 경고하고 있다. 높은 GI 식품이 왜 안 좋은가? 단맛 대 GI, GL 단맛은 혀에서 느끼는 미각일 뿐, 실제 우리 몸속에서 흡수와 관련된 것은 GI. GI가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수임. GI는 Glycemic Index, 당지수. 음식을 섭취한 뒤, 혈당이 오르는 속도 를 0~100으로 나타낸 수치 백미 70 찹쌀 75 현미 55 메밀(250928 추가) 53 보리 35 어떤 자료에서는 25도 있다. 대두 18 GL은 Glycemic load, 당부하지수. 일반적인 1회 섭취량에 함유된 탄수화물의 양을 고려하여 계산된 값이고 실질적인 섭취량을 따져 계산된 값이다. 때문에 흰쌀밥보다는 잡곡을 섞어 먹는 것이 혈당 조절에 유리하지만 아무리 GI가 낮은 식재료라도 과하게 먹으면 독이 된다. 메밀의 경우도 메밀 자체는 GI가 낮지만 메밀과 곁들여 먹는 달콤짭짤한 육수엔 많은 조미가 되어있다. 그래서 국물은 되도록 남기는 것이 좋다. 예외적으로 Low GI 식단이 유해한 경우로는 다음이 있다. 1.만성 콩팥병 4기 이상의 환자들 -> 미네랄이 많은 잡곡을 피하고 흰밥을 섭취해야함 2.지나친 식이섬유가 유해한 경우 염증성 장 질환, 위 궤양이 있는 환자들 피부 염증과 설탕의 관계 설탕은 피부 염증을 일으키는 대표 주범이다. 설탕은 몸속 단백질과 붙어서 AGEs, 최종당화산물을 만들어 내는데 이 물질이 피부에 염증을 만들고 모공을 막고 트러블을 유발한다. 염증은 섭취 후 바로 나타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몇 일 후에 나타나는데 전에 먹은 단 음식이 원인이다. +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피부의 탄력을 담당하는 물질인데 당이 이를 방해한다. 기분에 영향 혈당 롤러코스터를 겪으면서 호르몬 변화가 잦아 기분에 영향을 미친다. 잦은 건망증 혈당 롤러코스...


